S&P500, 1.1% 또 상승! '이스라엘-이란 정전' 발표에 안도 랠리 (2025년 6월 25일 시장 분석)
하루 만에 급변하는 시장, 따라가기 힘드시죠? 어제의 리스크가 오늘의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이란 정전 합의'라는 초대형 호재가 전해지며, 미국 증시가 이틀 연속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글에서 ①시장을 끌어올린 명확한 이유, ②파월 의장의 발언과 시장의 해석, ③그리고 환율이 내 펀드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리스크 온' 무드 확산: MSCI ACWI 사상 최고치 경신
간밤(6월 24일, 미국 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이틀 연속 강력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블랙 먼데이'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털어내고, 시장에는 명확한 '리스크 온(Risk-on)' 분위기가 형성되었습니다. 이 미국 증시 상승은 글로벌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S&P500 지수: 전일 대비 약 1.1% 상승
- MSCI ACWI 지수: 전일 대비 약 1.46%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이스라엘-이란 정전 합의' 소식이 시장의 가장 큰 불확실성을 제거해주었기 때문입니다. 일부 정전 위반 보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확전 가능성이 크게 낮아졌다고 판단하며 적극적으로 위험자산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증시 상승세는 매우 견조합니다.
팁 Tip!
- MSCI ACWI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것은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증시 전반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확산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리스크 온'은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채권, 금)을 팔고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정전 합의와 같은 큰 뉴스는 단기적으로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재료가 됩니다.

2. 시장을 움직인 3가지 핵심 동력
이번 미국 증시 상승을 이끈 동력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분석됩니다. '지정학 리스크 완화', '통화 완화 기대감', 그리고 '기술주 주도의 성장'이라는 세 박자가 완벽하게 맞아떨어졌습니다.
미국 증시 상승을 이끈 3대 요인 🧐
1. 이스라엘-이란 '정전' 발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가 시장의 안도 심리를 극대화하며 가장 큰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2. 안전자산의 후퇴 (유가, 채권, 달러 하락): 정전 소식에 유가가 급락하고, 미 10년물 국채 금리, 달러, 금 가격도 모두 하락하며 주식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될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3. 미 연준(FRB)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파월 의장은 의회 증언에서 신중한 태도를 보였지만, 시장은 다른 연준 위원들의 긍정적 신호에 더 주목하며 '연내 2회 금리 인하' 기대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팁 Tip!
- 유가 하락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시켜,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 채권 금리 하락은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고 주식의 상대적 매력을 높여 주가에 긍정적입니다.
- `미국 증시 상승`의 지속 여부는 이제 연준의 실제 행동에 달려있습니다.
3. 일본 국내 펀드 동향: 엔고(円高) 영향으로 더뎌진 상승 폭
오늘(6월 25일) 오전 9시 기준으로 발표된 일본 국내 펀드들의 기준가액은, 이틀 전(6월 23일) 미국 시장의 강력한 미국 증시 상승(+1%)분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P500 지수가 1% 오르는 동안, 관련 펀드들은 약 0.5%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환율(為替)' 때문입니다. 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가 완화되면서 안전자산인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고, 상대적으로 엔화 가치가 상승(엔고 현상)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 주식의 달러 기준 상승분 중 일부가 엔화로 환산되는 과정에서 상쇄된 것입니다. 이는 미국 증시 상승기에도 환율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팁 Tip!
- 오늘 내 펀드가 0.5% 오른 것은 이틀 전 미국 시장의 1% 상승과 엔화 강세가 함께 반영된 결과입니다.
- 간밤의 추가적인 미국 증시 상승(+1.1%) 효과는 내일(26일) 기준가액에 반영될 예정이지만, 오늘도 엔화가 강세를 보인다면 상승 폭은 다소 제한될 수 있습니다.
- 해외 펀드 투자 시에는 주가 지수뿐만 아니라, 환율 동향도 반드시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펀드명 | 기준가액 | 전일 대비 |
---|---|---|
eMAXIS Slim 미국 주식 (S&P500) | 31,944엔 | +135엔 (+0.42%) |
SBI・V・S&P500 인덱스 펀드 | 29,237엔 | +143엔 (+0.49%) |
라쿠텐・플러스・S&P500 인덱스 펀드 | 14,215엔 | +60엔 (+0.42%) |
펀드명 | 기준가액 | 전일 대비 |
---|---|---|
eMAXIS Slim 전세계 주식 (올 컨트리) | 26,965엔 | +69엔 (+0.26%) |
SBI-SBI・전세계 주식 인덱스 펀드 | 25,108엔 | +65엔 (+0.26%) |
라쿠텐・플러스・올컨트리 주식 인덱스 펀드 | 13,904엔 | +37엔 (+0.27%) |
4. 실전 활용 가이드: 현재 시장에서 투자자의 자세
시장의 분위기가 하루 만에 급변하는 지금,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1단계 (리스크 재평가): 시장의 가장 큰 리스크였던 '중동 분쟁'이 완화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인지하고, 과도하게 취했던 방어적 포지션을 일부 완화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 2단계 (모멘텀 관찰): '테슬라 로보택시'와 같은 기술 혁신이 새로운 시장 상승 동력이 될 수 있는지 관찰합니다.
- 3단계 (전략 복기): '조정 시 매수' 관점을 유지했다면, 이번 반등을 통해 자신의 전략이 유효했는지 복기하고 다음 계획을 세웁니다.
주의사항 및 대처법: '정전 합의'가 공식적으로 완전 타결되기까지는 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올 수 있으므로 추격 매수는 신중해야 합니다.
기대 효과: 시장의 공포와 탐욕 사이에서 중심을 잡고, 주요 뉴스가 미국 증시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5. 미국 증시 상승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어제는 엔저(円安)라 펀드 손실이 줄었다고 했는데, 오늘은 왜 엔고(円高)인가요?
- A: 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와 관련이 깊습니다. 중동 리스크가 커지면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달러'를 사들여 달러 가치가 오르고 상대적으로 엔화가 약세(엔저)가 됩니다. 반대로, 리스크가 완화되면 달러를 팔고 다른 자산으로 이동하므로 달러 가치가 내리고 엔화가 강세(엔고)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Q2: 파월 의장은 신중한데, 왜 시장은 금리 인하를 기대하나요?
- A: 파월 의장의 발언은 연준 전체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므로 신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다른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나, 최근의 둔화된 경제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보며 '결국 연준이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격에 먼저 반영하고 있는 것입니다.
- Q3: MSCI ACWI가 S&P500보다 더 많이 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 A: MSCI ACWI는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주식을 포함하는 지수입니다. 간밤에는 중동 리스크 완화가 미국 증시뿐만 아니라, 특히 리스크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던 유럽 증시 등에 더 큰 호재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전체 지수의 상승률이 S&P500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불과 하루 만에 공포에서 환호로 돌아선 시장. 이번 미국 증시 상승은 지정학적 리스크라는 거대한 안개가 걷히자, 기술 혁신과 통화 완화 기대감이라는 펀더멘털이 여전히 굳건함을 보여준 사례입니다. 😊 물론 아직 변수는 남아있지만, 시장에 다시 돌아온 '안도감'이 다음 상승을 위한 긍정적인 에너지가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유가 70달러, 과연 적정 가격일까?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심층 분석
유가 70달러, 과연 적정 가격일까?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심층 분석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을 수 있다는 공포가 시장을 뒤덮
japankimne.tistory.com
'투자&경제 > 투자 &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500,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회복 가능할까? (과거 100년 데이터 분석) (0) | 2025.06.26 |
---|---|
S&P500 '숨 고르기', 그 사이 올칸은 '사상 최고가'… 무슨 일? (2025년 6월 26일 분석) (0) | 2025.06.26 |
유가 70달러, 과연 적정 가격일까?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심층 분석 (1) | 2025.06.24 |
S&P500, 1% 반등! 이스라엘-이란 정전 합의 & 테슬라 로보택시 출시 (2025년 6월 24일 시장 분석) (4) | 2025.06.24 |
미군, 이란 공격 개시... '폭풍 전야'였던 미국 증시, 향후 전망은? (2025년 6월 23일) (2) | 2025.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