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휴장에도 선물 -0.9% 하락... '전쟁 경계 모드' 확산 (2025년 6월 20일 시장 분석)
미국 증시는 휴장이었지만, 시장의 긴장감은 오히려 높아졌습니다. 공식 지수는 멈춰 있었지만, 선물 시장과 글로벌 시장은 '전쟁 경계 모드'에 진입하며 하락했습니다. 이번 글에서 ①휴장일에도 시장 심리를 읽는 법, ②현재 시장을 짓누르는 4가지 요인, ③그리고 내 펀드에 미칠 다음 영향까지 예측해 봅니다.
1. 조용했지만 조용하지 않았던 밤: 휴장 속 선물 시장 동향
지난 6월 19일(미국 현지시간)은 '준틴스(Juneteenth)' 공휴일로, 미국 주식 시장은 공식적으로 휴장했습니다. 따라서 S&P500 지수 등 주요 지수에는 변동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시장의 진짜 분위기는 휴일에도 거래되는 '선물 시장'에서 감지되었습니다.
S&P500 선물 지수는 이날 전일 대비 약 -0.9% 하락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 심리가 커지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미국 외 다른 국가들의 증시를 반영하는 MSCI ACWI(전세계 주가지수) 역시 -0.42% 하락하며 글로벌 전반에 걸쳐 경계감이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이처럼 현재 미국 증시 전망은 다소 어두운 안개가 낀 상태입니다.
팁 Tip!
- 미국 증시 휴장일에는 S&P500 선물이나 나스닥100 선물의 움직임을 통해 다음 개장일의 시장 분위기를 미리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 휴장일 거래는 유동성(거래량)이 적어 평소보다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MSCI ACWI와 같은 글로벌 지수는 미국이 휴장일 때도 유럽, 아시아 등 다른 나라 시장의 영향을 받아 움직입니다.

2. '전쟁 경계 모드'를 부추긴 4가지 요인
시장은 왜 쉬는 날에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을까요? 현재 미국 증시 전망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요인은 크게 네 가지입니다.
- 중동 정세의 긴장감 지속: 이스라엘-이란 간의 충돌이 계속되고, 여기에 미국이 개입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 심리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습니다.
- 원유 가격 고공행진: 지정학적 리스크를 배경으로 국제 유가(브렌트유 기준)가 약 +1% 상승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에너지 섹터에는 호재지만,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하여 전체 시장에는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안전자산으로의 자금 이동: 지정학적 리스크와 더불어, 지난 FOMC에서 확인된 연준의 신중한 태도는 '고금리 장기화' 우려를 낳았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가 소폭 강세를 보이고, 자금이 금이나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며 주식 시장의 자금을 흡수하고 있습니다.
- 얇은 거래량 속 매도 우위: 휴일로 인해 거래량이 적은 '얇은 시장'에서는 비교적 적은 매도 물량으로도 가격이 크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날 선물 시장에서는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우위를 보였습니다.
전문가의 시선 🧐
현재 시장 상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미국 본 시장은 쉬었지만, 그 주변부(선물, 글로벌 시장)에서는 '전쟁 경계 모드'가 서서히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한 하루"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증시 전망`이 다소 불안정해진 것이죠.
3. 일본 국내 펀드 동향: 소폭 하락세 지속
오늘(6월 20일) 오전 9시 기준으로 발표된 일본 국내 펀드들의 기준가액은, 미국이 휴장하기 전날인 6월 18일(수) 미국 시장의 보합세(-0.03%)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차로 인해 오늘 펀드 기준가액은 큰 움직임 없이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앞으로의 미국 증시 전망에 따라 펀드 수익률도 달라질 것입니다.
팁 Tip!
- 오늘 내 펀드가 소폭 하락한 것은 이틀 전 미국 시장의 보합세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 간밤에 하락한 미국 선물 시장의 움직임은 다음 주 월요일(23일) 기준가액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벤치마크가 다른 펀드(예: SBI 올컨트리-FTSE)는 다른 펀드와 다른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펀드명 | 기준가액 | 전일 대비 |
---|---|---|
eMAXIS Slim 미국 주식 (S&P500) | 31,533엔 | -105엔 (-0.33%) |
SBI・V・S&P500 인덱스 펀드 | 28,862엔 | -92엔 (-0.32%) |
라쿠텐・플러스・S&P500 인덱스 펀드 | 14,033엔 | -47엔 (-0.33%) |
펀드명 | 기준가액 | 전일 대비 |
---|---|---|
eMAXIS Slim 전세계 주식 (올 컨트리) | 26,728엔 | -110엔 (-0.41%) |
SBI-SBI・전세계 주식 인덱스 펀드 | 24,891엔 | -56엔 (-0.22%) |
라쿠텐・플러스・올컨트리 주식 인덱스 펀드 | 13,780엔 | -57엔 (-0.41%) |
4. 실전 활용 가이드: '전쟁 경계 모드'에 대처하는 법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지금,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현재 미국 증시 전망에 맞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1단계 (정보 필터링): 휴장일의 선물 시장 움직임은 투자 심리를 보여주지만, 거래량이 적어 과장된 측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 주 개장 후의 실제 시장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단계 (리스크 재평가): 중동 리스크가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을 재평가합니다. 특히 유가 변동에 민감한 항공, 운송주나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성장주 비중을 점검합니다.
- 3.단계 (방어적 관점 유지): 시장이 안정을 되찾을 때까지, 적극적인 추가 매수보다는 현금 비중을 유지하거나 금, 달러 등 안전자산의 역할을 고려하는 등 방어적인 관점을 유지합니다.
주의사항 및 대처법: 지정학적 리스크는 예측이 불가능하며, 상황이 급변할 수 있습니다. 관련 뉴스에 따라 시장이 다시 한번 크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최신 뉴스를 계속 주시해야 합니다.
기대 효과: 이 가이드를 통해, 공식 지수가 멈춰있을 때도 시장의 숨은 흐름을 읽고, 다음 시장의 움직임에 미리 대비하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5. 미국 증시 전망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미국 증시가 휴장인데 어떻게 선물 지수는 움직이나요?
- A: 주가지수 선물은 주식 현물 시장과는 별개의 파생상품 시장에서 거래됩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등에서는 주식 시장이 쉬는 날이나 야간에도 선물이 계속 거래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다음날 시장 분위기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 Q2: '전쟁 경계 모드'가 되면 어떤 자산이 오르고 내리나요?
- A: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위험을 피해 안전한 곳으로 자금을 옮깁니다. 따라서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은 하락하고, 금, 미국 달러,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중동 리스크의 경우 원유 공급 불안으로 '유가'가 상승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Q3: 현재 미국 증시 전망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요인은 무엇인가요?
- A: 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요인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입니다. 최근 약한 경제 지표들이 오히려 연준(FRB)이 금리를 내릴 명분을 만들어주고 있다는 시각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것이 주식 시장의 큰 폭 하락을 막는 버팀목이 되고 있습니다.
마무리
미국 시장은 휴장이었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다음 주 시장에 대한 경고등을 켰습니다. 😊 다음 주 초반 시장은 이스라엘-이란 분쟁의 추가 소식에 따라 방향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인지하고, 신중한 자세로 시장을 관망하며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은 시기에는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방어해야 할까요? RBC의 리스크 분석 글을 참고해보세요.RBC가 경고한 3가지 리스크 분석
'투자&경제 > 투자 &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상원,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가결! 🏛️ 암호화폐 시장의 미래를 바꿀 5가지 핵심 포인트 (1) | 2025.06.21 |
---|---|
기업들의 '비트코인 매수' 열풍, 그 이유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사례 심층 분석) (0) | 2025.06.20 |
S&P500, 최대 20% 하락 가능성? RBC가 경고한 3가지 리스크 (이스라엘-이란 분쟁) (3) | 2025.06.19 |
FOMC, 금리는 동결했지만... S&P500 '관망세' 전환, 왜? (2025년 6월 19일 시장 분석) (0) | 2025.06.19 |
S&P500, 다시 6000선 붕괴... 중동 리스크·소비 둔화에 '위험 회피' (2025년 6월 18일 시장 분석) (0) | 2025.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