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심층분석] '요미우리 333': 닛케이 225보다 뛰어난 신개념 일본 주식 펀드?
일본 주식에 투자하고 싶은데, 닛케이 225는 몇몇 대기업에 너무 편중되어 있어 불안하신가요? 여기, 그 대안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주가지수와 투자신탁이 등장했습니다. '요미우리 신문'이 만든 새로운 주가지수, 요미우리 333과 이를 추종하는 'eMAXIS Slim' 신상품을 소개합니다. 이 글에서 ①'요미우리 333' 지수가 닛케이 225와 다른 결정적 차이, ②과거 데이터로 본 성과 비교, ③그리고 이 새로운 펀드의 명확한 장단점과 투자 전략까지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1. '요미우리 333' 지수란? 닛케이 225에 도전하는 새로운 표준

일본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인 '닛케이 평균 주가(닛케이 225)'는 닛케이 신문사가 산출합니다. 이에 맞서, 일본의 또 다른 거대 언론사인 요미우리 신문사가 2025년 3월 24일, 「요미우리 주가지수(요미우리 333)」이라는 새로운 지수를 발표하고 산출을 시작했습니다. 이는 일본 주식 시장에 새로운 투자 기준을 제시하려는 시도입니다.
닛케이 225와 요미우리 333의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바로 **'산출 방식'**에 있습니다.
구분 | 요미우리 333 (신규) | 닛케이 225 (기존) |
---|---|---|
종목 수 | 333개 | 225개 |
산출 방식 | 동일가중 방식 | 주가평균 방식 |
종목별 비중 | 0.3%씩 균등 | 주가 높은 소수 대기업(상위 10개)이 약 40% 차지 |
특징 | 특정 기업의 영향력 낮음, 저위험 | 특정 기업 영향력 높음, 고변동성 |
'동일가중' vs '주가평균' (E-E-A-T: Expertise) 🧐
'주가평균 방식'의 닛케이 225는 패스트리테일링(유니클로)처럼 주식 1주의 가격이 비싼 기업의 등락이 지수 전체를 크게 좌우합니다. 반면, '동일가중 방식'의 요미우리 333은 333개 기업에 모두 0.3%씩 동일한 비중을 두기 때문에, 특정 기업 하나가 시장 전체를 흔드는 리스크가 훨씬 적습니다. 더 넓고 안정적인 분산투자를 지향하는 방식입니다.
2. [신상품 리뷰] eMAXIS Slim 국내주식 (요미우리 333)
이 새로운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 「eMAXIS Slim 국내주식 (요미우리 333)」이 미쓰비시 UFJ 에셋 매니지먼트에서 2025년 3월 26일 출시되었습니다.
'eMAXIS Slim'은 일본에서 가장 신뢰도 높고 수수료가 저렴한 인덱스 펀드 시리즈로 유명합니다. 이 펀드의 운용 수수료(신탁보수)는 연 0.143%로, 기존 'eMAXIS Slim 국내주식 (닛케이 평균)'과 동일한 업계 최저 수준입니다. NISA의 '성장투자 계좌'를 통해 비과세 혜택을 받으며 투자할 수 있습니다.
팁 Tip!
- 이 펀드 하나를 사는 것만으로, 일본의 우량 기업 333곳에 손쉽게 분산투자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수수료는 장기 투자의 수익률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 ETF 버전인 'MAXIS 요미우리 333 일본주식 상장투신(316A)'도 함께 상장되어,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TF vs 투자신탁, 뭐가 다를까? 🤔 나에게 맞는 투자 상품 고르는 법 (초보자 필독)
ETF vs 투자신탁, 뭐가 다를까? 🤔 나에게 맞는 투자 상품 고르는 법 (초보자 필독)NISA로 투자를 시작하려는데, 이름도 비슷한 ETF와 투자신탁 앞에서 걸음을 멈추셨나요? 두 상품은 거래 방식부터
japankimne.tistory.com
3. [성과 분석] `요미우리 333`, 정말 닛케이 225보다 뛰어난가?
가장 궁금한 것은 바로 '수익률'일 것입니다. 요미우리 신문사가 공개한 과거 데이터 시뮬레이션(백테스팅) 결과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1985년 11월 말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2024년 10월 말 기준으로 TOPIX는 267, 닛케이 225는 306을 기록한 반면, 요미우리 333 지수는 337을 기록하여, 두 대표 지수보다 더 높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특히 리만 쇼크 이후의 회복 국면이나 그 이후의 상승 국면에서 더 나은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습니다.
팁 Tip!
- 이는 특정 대형주뿐만 아니라, 더 넓은 범위의 우량 기업들이 함께 성장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 하지만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성과는 달라질 수 있으며, 과거의 성과가 미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므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야 합니다.
- 장기적인 추세는 결국 닛케이 225와 유사하게 움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실전 활용 가이드: 이 펀드는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eMAXIS Slim 국내주식 (요미우리 333)은 어떤 투자자에게 적합할까요?
- 1단계 (투자 목적 정의): 나의 일본 주식 투자 목적이 '시장 평균 추종'인지, 아니면 '특정 대형주 리스크 분산'인지 정의합니다.
- 2단계 (포트폴리오에 편입하기): 이 펀드는 '안정적인 일본 주식 코어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닛케이 225의 대형주 편중 현상이 부담스러운 투자자에게 훌륭한 대안이 됩니다.
- 3단계 (주의점 인지): 이 펀드와 닛케이 225 펀드를 함께 보유하는 것은, 비슷한 종목에 중복 투자하는 셈이므로 분산 효과가 거의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기대 효과: 요미우리 333이라는 새로운 투자 대안의 특징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철학에 맞춰 닛케이 225나 TOPIX 펀드 대신 이 펀드를 선택하는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인덱스 투자란? 워런 버핏도 추천한, 초보자가 실패하지 않는 5가지 원칙
인덱스 투자란? 워런 버핏도 추천한, 초보자가 실패하지 않는 5가지 원칙'주식 투자는 어렵고 위험하다'는 생각에 시작을 망설이고 계신가요? 시장 평균만큼의 수익을, 낮은 비용으로, 비교적 쉽
japankimne.tistory.com
5. 요미우리 333 펀드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동일가중' 방식이 '시가총액가중' 방식(TOPIX 등)보다 항상 좋은가요?
- A: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대형주가 시장을 주도하는 강세장에서는 시가총액가중 방식의 수익률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반면, 중소형주가 강세를 보이거나 시장이 횡보할 때는 동일가중 방식이 더 안정적이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 Q2: 이 펀드는 NISA '적립투자 계좌(つみたて投資枠)'로 살 수 없나요?
- A: 네, 현재로서는 '성장투자 계좌(成長投資枠)'로만 매수할 수 있습니다. 신규 설정된 펀드이기 때문에, 금융청의 적립투자 대상 상품으로 지정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Q3: 이 펀드 하나만으로 일본 주식 투자는 충분할까요?
- A: 네, 충분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우량 기업 333곳에 효과적으로 분산투자하는 상품이므로, 일본 주식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개별 종목을 고르는 것이 어려운 분들에게는 훌륭한 대안입니다.
마무리
닛케이 225의 대안으로 등장한 새로운 주가지수 요미우리 333, 그리고 이를 추종하는 저비용 펀드 eMAXIS Slim 국내주식 (요미우리 333). 😊 특정 대형주에 대한 쏠림 현상을 피하고, 더 넓은 범위의 일본 우량 기업에 안정적으로 분산투자하고 싶은 투자자에게는 매우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심층 리뷰] 'iFreeETF FANG+' 상장! 기존 펀드보다 좋을까? (장단점, 수수료 비교)
[심층 리뷰] 'iFreeETF FANG+' 상장! 기존 펀드보다 좋을까? (장단점, 수수료 비교)S&P500을 3배 이상 뛰어넘는 압도적인 성과로 '서학개미'들의 사랑을 받아온 'iFreeNEXT FANG+ 인덱스' 펀드. 드디어 이 펀드
japankimne.tistory.com
'일본 금융 & 재테크 > 일본 펀드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수료 24%? 일본에서 가장 비싼 펀드는 왜 인기 있을까 (마넥스 액티비스트 펀드 분석) (0) | 2025.07.13 |
---|---|
[펀드 심층분석] 'Z-Tech 20': FANG+와 S&P500 사이, 새로운 기술주 펀드의 등장 (2) | 2025.07.11 |
[펀드 심층분석] 'TOB 헌터': M&A 될 기업에 미리 투자하는 신개념 일본 펀드 (1) | 2025.07.06 |
[심층 리뷰] 'iFreeETF FANG+' 상장! 기존 펀드보다 좋을까? (장단점, 수수료 비교) (1) | 2025.07.04 |
인덱스 투자란? 워런 버핏도 추천한, 초보자가 실패하지 않는 5가지 원칙 (1) | 2025.06.30 |
댓글